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서버 점검 공지
|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대형 작전
(r2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함대 구성 == 세이렌 보스의 강화 모듈에 대비하여 대공이 받쳐주는 전함/항모 함대가 하나씩은 있는 걸 추천. 강화 모듈이 전함의 딜링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은만큼 전함보다는 항모 위주의 편성이 무난. 특히 잠수함 유무는 난이도에 엄청난 영향을 준다. 테스트 서버에서 제시한 함대의 예시는... * 1함대 : 대개 잔챙이 격파용 함대로, 통칭 쫄팟이라고도 불리운다. 보통 힐러 함선을 하나 이상 대동하게 되며, 위험도에 따른 안전해역 개념이 없기에 레벨링 함선을 편성하더라도 110 내외로 구성하는 걸 추천. 수리키트를 꼬박꼬박 사용할 생각이라면 힐러를 편성하지 않고도 플레이 가능하지만, '''[[유니콘(벽람항로)|유니콘改]]'''나 [[퍼시어스]]를 편성한다면 그러한 번거로움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. 또한 대부분의 전투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함대이니만큼, 주포/공습 선장전 혹은 주포/공습 쿨타임 감축 스킬을 보유한 함선을 채용하면 전반적인 클리어 타임이 단축되므로 크게 활약한다. 새로 입수한 META 함선의 스킬 레벨을 올리게 되는 경우, 여기에 함께 편성하는 것이 편하다. * 2함대 : 항모 편대. 적 세이렌의 전투 모듈 같은 요인으로 인해 항모에 유리한 보스전을 치를 경우 운용하는 함대로, 대체로 철갑 로켓탄 탑재 전투기[* 시제형 BF-109G(4기 연구 장비). 중형장갑 보스에게 유리함.] 혹은 사속 조절용 전투기/폭격기에 더해 일점사형 뇌격기[* 텐잔, 텐잔改(장비 개발 제조), 류세이, 사이운(4기 연구 장비), Ju-87(통칭 독세이, 장비 개발 제조). 중장갑 보스에게 유리함.] 셋팅으로 통일한 항모들을 채용하게 된다. 보통 [[시나노(벽람항로)|시나노]]를 비롯한 3항모로 구성하며, 5항전([[즈이카쿠(벽람항로)|즈이카쿠]]/[[쇼카쿠(벽람항로)|쇼카쿠]]) 혹은 [[아크로열(벽람항로)|아크로열改]] & 쇼카쿠 조합이 일반적이지만 엔터프라이즈나 에식스 같은 유니온 항모를 동원해도 무방. [[하쿠류(벽람항로)|하쿠류]]의 개발이 완료되었다면 시나노 및 진영 버퍼인 [[나가토(벽람항로)|나가토]]와 함께 편성하기도 한다. 전열은 탱킹을 할 함선 하나를 제외하면 [[시리우스(벽람항로)|시리우스]]나 공습선도([[카자구모(벽람항로)|카자구모]], [[허먼 II]], [[스테판 포터]], [[컬루(벽람항로)|컬루改]] 등) 같은 항모 보조 스킬을 가진 함선을 함께 편성하며, 전함팟에 [[헬레나(벽람항로)|헬레나改]]를 편성하지 않았다면 이쪽에서 굴리게 된다. * 3함대 : 전함 함대. 경장갑 이외의 보스에 큰 피해를 주기 위해 주포를 철갑탄으로 통일하는 경우가 많다. 보통은 깡화력이 높은 전함들[* [[무사시(벽람항로)|무사시]], [[뉴저지(벽람항로)|뉴저지]], [[비스마르크 Zwei]], [[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(벽람항로)|그로세]] 등.]로 우선적으로 채우게 되며, 여기에 시너지를 높여주는 버프/디버프 스킬을 보유한 전함[* [[뱅가드(벽람항로)|뱅가드]], [[듀크 오브 요크(벽람항로)|듀크 오브 요크]], [[하우(벽람항로)|하우]].] 1척 조합으로 편성하는 것이 일반적. 함선 풀이 부족할 경우 성능이 좋은 다른 전함 캐릭터[* [[워스파이트(벽람항로)|워스파이트改]], [[후드(벽람항로)|후드]](+전용장비), [[넬슨(벽람항로)|넬슨改]], [[모나크(벽람항로)|모나크]](30강), [[이즈모(벽람항로)|이즈모]](용골편찬 5단계) 등.]를 채용하여도 문제는 없다. 탱커[* 흉악한 수준의 순수 탱커 [[앵커리지(벽람항로)|앵커리지]], 슬로우를 유발하는 [[에기르(벽람항로)|에기르]], 탄막 적중 시 잠시동안 이동불능으로 만드는 [[론(μ장비)]]]와 디버퍼[* 전함들의 사속 조절이 필수가 되나 그에 상응하는 딜 증폭을 유발하는 [[헬레나(벽람항로)|헬레나改]], 기함 위치의 전함에 한정되나 강력한 대미지 증폭을 걸어주며 스스로의 딜링&탱킹도 뛰어난 [[플리머스(벽람항로)|플리머스]].] + @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. * 4함대 : 보조 함대. 다른 함대에 지원을 해줄 수 있는 스킬을 보유한 함선들로 채워지되, 유저에 따라서는 세이렌 요새 및 아비터 전투에서의 총력전에 대비하는 편성도 겸하게 되는 함대. 공역 지원 스킬을 보유한 [[인디펜던스(벽람항로)|인디펜던스改]] 또는 [[카사블랑카(벽람항로)|카사블랑카]]와 함께 [[토사(벽람항로)|토사]], [[마르코 폴로(벽람항로)|마르코 폴로]] 등 타 함대에 지원 탄막을 얹어주는 함선을 위주로 넣어 예비대로 굴리거나, [[진츠(벽람항로)|진츠改]]를 비롯하여 어뢰로 데미지를 주는 어뢰 함대, 혹은 경장갑을 전문으로 상대하는 고폭탄 순양함 함대 등 편성은 자유이지만 뇌격기 특화 항모 편대와 철갑탄 전함 편대는 경장갑 보스 상대로 취약할 수밖에 없기에 전함을 편성할 경우라면 고폭탄/반철갑탄 주포를 장비시키는 것을 추천. * 잠수함 : U보트 혹은 이글 유니온 잠수함만으로 편성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한 조합이 추천되지만, 잠수함 풀이 부족할 경우 자신이 가진 가장 강한 잠수함을 우선적으로 편성하는 것이 좋다. 코어샵에서 판매하는 강화 내압 설계안을 요함(위/아래) 위치의 잠수함에 장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. 또한, 공작함인 아카시/베스탈은 함대에 넣었을 경우, 안전해역(한 번 클리어) 이외의 스테이지를 클리어한 직후에 모든 함대의 내구를 10% 회복시켜준다. 탄약 개념이 없는 특성상 역시 보조 함대에 넣는 것이 좋다. 함재기가 만만치 않게 날아오므로 모든 함대에 대공을 담당할 함선 하나 정도는 편성하는 게 무난. 타 함대에 영향을 주는 지원탄막 및 버프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보니, 이러한 스킬을 보유한 SSR/UR 함선들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전반적인 난이도가 크게 좌우된다. * 지원 탄막(후열) : [[뉴저지(벽람항로)|뉴저지]], [[무사시(벽람항로)|무사시]], [[울리히 폰 후텐(벽람항로)|울리히 폰 후텐]], [[뱅가드(벽람항로)|뱅가드]], [[토사(벽람항로)|토사]], [[마르코 폴로(벽람항로)|마르코 폴로]] * 지원 탄막(전열) : [[크론시타트(벽람항로)|크론시타트]], [[시마카제(벽람항로)|시마카제]] * 타 함대 버프 : [[인디펜던스(벽람항로)|인디펜던스改]] or [[카사블랑카(벽람항로)|카사블랑카]], [[퍼시어스]], [[임플래커블(벽람항로)|임플래커블]]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